아름다운 세상/가르치며 배우며
[스크랩] 시조(時調) 공부 2단계/ 3. 외화성(外華性) 언어와 피상적(皮相的) 인식/예촌 -서길석
사랑빛
2014. 3. 11. 13:08
시조(時調) 공부 2
3. 외화성(外華性) 언어와 피상적(皮相的) 인식
앞의 < 도시의 여름 >이 풍경, 인사, 사물에 관한 감흥을 리듬을 갖춘 형식 속에 담고 있기에, 국어사
전에서 분류한 시라고는 할 수 있겠습니다. 그러나 다음 작품과 비교해보면 무언가 느낌이 다를 것입니
다.
< 도시의 여름 >
하이얀 구름이 둥실둥실
빌딩숲 사이로 저 멀리서 오락가락
쏟아지고 불볕은 대지를 뜨겁게 뜨겁게
남영동의 좁은 공간 창밖을 보니
봉고 포니 그랜저 밴츠 프라이드 르망
… 이하 생략
< 대낮 >
콸콸콸 철관에서 폐수 폭포가 힘차게 쏟아지고 부글부글 거품의 소용돌이에 죽은 쥐가 뜬다. 대낮의 장엄한 소용돌이, 도시 한복판으로 검은 기관차가 무개차를 끌고 지나가고, 살아남은 태아들이 철뚝길에 나와 깔깔거리며 놀고 있다.
☞ < 대낮 >도 도시의 여름과 같은 도시의 풍경입니다. 그리고 콸콸콸, 부글부글, 깔깔깔과 같은 부사
의성․의태어가 등장하고 있는데도 < 도시의 여름 >과는 전혀 다른 시적 공간 즉, 시로 형성된 하나의
세계를 보여줌은 < 도시의 여름 >이 ‘어느 날 창밖을 보다 눈에 띄는 대로 서술하고 또 그것으로부터
연상된 막연한 의문을 표현하고 있는 기계적, 피상적 인식 이라는 점에 비해, < 대낮 >은 의도적, 집
중적 관찰에 의해 얻어진 시적 공간이 이루어진, 무엇에 대한 구체적 인식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
다.
* 외화성 언어 : 외관상 그럴듯하게 보일지라도 사실은 공허한 말놀이에 불과한 언어.
출처 : 시조시인 함세린 시조문학 [청풍명월 연가]
글쓴이 : 맑은물 함세린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