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수오회춘주 [何首烏回春酒]
----------------------------
하수오주는 허액체질을 개선해주고 권태와 무기력증, 우울증을 몰아내는 술로 꼽는다.
하수오란 이름에서 유래했듯이 머리를 검게할 만큼 자양강장에 효과적이다
하수오·당귀·구기자·연육(蓮肉) 등으로 만든 약용주이다.
강장작용을 하며 근골을 튼튼하게 해주고 정혈보온과 노화예방에도 좋은 효과를 나타낸다.
남녀노소 마실 수 있으나 특히 30세 이상이 마시면 강장의 효과가 있으며, 연육은 그 효과를
배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소주 1,000㎖에 하수오 30g, 당귀·구기자·토사자·연육 각 15g씩의 재료를 넣은 뒤
설탕 150g과 과당 50g을 섞어 만든다.
구기자와 토사자는 그대로 사용하고 다른 것은 잘게 썰어 용기에 넣은 뒤 소주를 부은 후
밀봉하여시원한 곳에서 보관한다. 처음 4∼5일 동안은 매일 한 번씩 가볍게 흔들어주며,
10일 후에 개봉하여 건더기를 면포로 걸러내고 술은 다시 용기에 넣어 설탕과 과당을 섞는다.
여기에 생약 건더기 1/5을 다시 넣고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서 보관한다. 1개월이 지난 뒤
윗부분의 술만 따라내고 나머지 건더기는 여과지로 거르면 적갈색의 약술이 완성된다.
하루 2회 복용하는데, 한번에 30㎖ 정도를 식전 또는 공복에 마신다.
하수오에 대해서
---------------
하수오는 남녀노소 누구한테나 좋은 약초이다. 하수오 한가지만으로도 정성을 들이면 훌륭한
약을 만들 수 있다. 단 우리나라에서 난 야생 하수오를 써야 효과가 제대로 난다.
(1) 노화방지, 정력감퇴, 빈혈, 만성변비
야생 하수오 말린 것 다섯 근(3㎏)을 구해 잘게 썰어서 쥐눈이콩 삶은 물에 하룻밤 담갔다가
꺼내어 떡 찌듯이 푹 찐다. 이것을 그늘에 말려 좋은 청주에 하룻밤 담갔다가 다시 쪄서
말린다. 이같은 과정을 아홉 번 반복하면 하수오가 마치 불투명한 유리처럼 된다.
이것을 가루 내어 하루 세 번 빈속에 한 숟가락씩 더운 물로 먹는다. 노화방지, 정력감퇴,
빈혈, 만성변비, 성기능쇠약, 흰 머리를 검게 하는데, 머리카락이 빠지지 않게 하는데,
체력을 튼튼하게 하는데 효험이 크다.
(2) 허약체질, 노인, 병후 조리
조선 세종임금 때 펴낸 세계 최대의 의학백과사전인 『의방유취』에 보면 허약체질이나 노인,
또는 앓고 난 사람에게 뼈와 근육을 튼튼하게 하고 장수하는 처방으로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하수오 세 근(1.8㎏)을 쌀뜨물에 하룻밤 동안 담가 두었다가 잘게 썰어 쇠무릎지기 잘게
썬 것 600g, 쥐눈이콩 1.5g과 함께 시루에 쪄서 말리기를 세 번 거듭한다.
그 다음에 하수오, 쇠무릎지기를 가루 내어 찐 대추살로 반죽해서 0.3g쯤의 무게로 알약을
만들어서 한 번에 30알씩 먹는다.
(3) 관절염
류머티스성 관절염이나 퇴행성 관절염으로 허리와 무릎이 아파 걸음을 잘 걷지 못할 때에는
하수오, 쇠무릎지기 각 600g을 좋은 술 1.8ℓ에 7일 동안 담갔다가 햇볕에 말려 절구에 찧어
가루낸 것을 대추살로 반죽하여 0.3g무게로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30~50알씩 빈속에 먹는다.
(4) 신경쇠약, 불면증, 건망증, 가슴두근거림
하수오는 불면증, 건망증, 가슴이 두근거리는데 등에도 효과가 높다. 잠을 잘 이루지 못하고
꿈이 많으며 머리가 어질어질하고 기억력이 희미할 때에는 하수오와 오미자, 꿀을 함께 쓴다.
한방에서는 신장기능이 약하거나 기혈(氣血)이 부족하면 모발이 약해지고 누렇게 된다고 본다.
신장의 기(氣)를 돋우고 머리카락을 나게 하는 대표적인 한약은 하수오(河首烏). 머리카락을
윤택하게 하고 까많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본초학(本草學)을 보면 하수오는 ‘기를 더하고 근육과 뼈를 굳게하고 정력을 더해주며 머리를
검게 하고 얼굴을 아름답게 하며 부인의 산후증과 대하증을 다스린다.'고 한다.
-가장 간편한 방법으로는 하수오에 3배의 술을 부어 냉암소에 3개월이상 두었다가
소주잔으로 1잔씩 먹는것이다.
-하수오를 쌀뜨물에 하룻밤 재워 두었다가 다음날 꺼내어 얇은 껍질을 벗기고
햇볕에 말려 가루내어 하루 3번 식전에 한 숟가락씩 더운 물로 먹는다.
-하수오를 쌀뜨물에 하룻밤 재운후 검은콩(서목태)과 같이 삶거나 찐 후에
햇볕에 말려 15그램씩 달여서 하루 3~4번에 나뉘어 마신다. 3개월 이상 먹는다.
*하수오를 먹는 동안 술,담배,돼지고기,닭고기,무, 파,마늘,밀가루 등은 먹지 않는다.*
:::기타 사항:::
하수오는 절대 철에 닿아서는 안되며 법제치 않고 그냥 먹으면 두통,갈증이 심하게 된다.
평상시 설사를 자주하거나 변이 묽은 사람은 먹지 말아야 한다.
철에 닿아서는 안되는 것들: 산삼,인삼, 하수오, 지황, 석창포 등..
'아름다운 세상 > 알아두면 좋을 것 같네요.(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오미자의 효능과 먹는법 (0) | 2014.07.27 |
---|---|
[스크랩] 한방으로 풀어본 민간요법 100선 (0) | 2014.07.27 |
[스크랩] 피를 맑게 하는 음식 (0) | 2014.07.27 |
[스크랩] 양파 효소와 양파 와인 만들기. (0) | 2014.07.15 |
[스크랩] 너희가 아리랑이란다 (0) | 2014.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