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세상/가르치며 배우며

[스크랩] 시조(時調) 공부 3 / 시조의 변천 / 예촌 -서 길석

사랑빛 2014. 3. 11. 13:06

시조(時調) 공부

 

3. 시조의 종류 (2)

❍ 단장시조(單章始祖-한줄 시조=절장시조)

 

    시(詩)는 근본적으로 짧아야 합니다. 즉 함축성의 묘를 최대한 살려야지요. 단

장시조는 종장만으로 이루어진 시조로, 함축성을 그 핵으로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류의 시조는 발전을 위한 실험정신은 높이 살만 하지만 자칫 민족의

고유박자의 시조를 엉뚱한 방향으로 끌고 갈 수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하겠습니

다.

 

 

❀ 단장시조의 예

 

 

이 순간

텅 빈 가슴을

무엇으로 채울고.

 

 

 

❍ 양장시조(兩章時調-두줄 시조)

 

    초장과 종장만으로 된 시조를 말합니다.

 

 

❀ 양장시조의 예

 

 

남산에 푸른 솔 북악에 검은 바위

세운 뜻 그대로 있는데 한해 간다 하더라.

 

 

- 주요한의 '송년' 전수 -

 

 

❍ 4장시조(4章時調)

 

   중장이 2이어서 도합 4개의 장으로 이루어진 시조.

 

 

❀ 4장시조의 예

 

 

태산이 무너진 듯 강물이 갈라진 듯

이 충격 이 비통 어디다 비기리까

이 가을 머언 광풍 낙엽지듯 가시어도

가지마다 황금열매 주렁주렁 열렸소이다.

 

 

- 노산 이은상의 ‘고 박정희 대통령 조가’ 중 첫수 -

 

 

 

4. 시조의 변천

 

    시조하면 우선 생각하기 쉬운 게 옛날 옛적, 암울함, 처량맞음, 서정성, 슬픔,

정적(靜的), 수동적, 피동적, 음픙농월(吟風弄月) 등을 연상하게 될 것입니다. 이는

시조가 이름 그대로 시절가조인만큼 옛날 주로 어둡고 비관적 조건하에서 그 시대

상을 노래했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우리는 예시조와 현대시조를 비교해 봄으로써 현대시조가 변화해온 점을

이해하고 창작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 고시조와 현대시조의 차이점

구 분

고 시 조

현 대 시 조

주재 및 소재

자연 찬미, 충효사상, 우애존중, 애정물에 치중

재제에 제한 없음

제 목

연시조에만 붙임

모든 시조에 다 붙임

내 용

형식과 동떨어진 관념적 내용을 과장되게 표현

되도록 주변 생활의 사실적 내용을 주제로 진실에 호소

시 어

어려운 한자숙어 위주

일상용어나 순수 우리말 사용

형 식

단순한 생각이나 느낌 표현에 안주(安住)

내재율(內在律)즉, 고도의 수사력(修辭力)을 동원, 사상이나 철학이 美的으로 다루어지도록 유의하여 이미지를 창출하고 메시지(전달 호소력)의 극대화에 주력.

리 듬

단조로움. 천편일률적

기발성, 다양성, 참신성, 현대 감각에 알맞게 이루도록 처리

시행 (詩行)

띄어 쓰지 않고 한 줄로 잇대어 씀

시행의 배열을 자유시처럼 자유롭게 함

어휘 사용

고루하고 진부함

참신․발랄한 현대어 사용

각장(章=연=수)간의 구성

앞의 단락이 뒤의 단락을 꾸미는데 그침

연(장=수)간의 일관성 있는 어울림이나 상관성에 유의하여 주제로 결집시킴

 

= 계속 =

출처 : 시조시인 함세린 시조문학 [청풍명월 연가]
글쓴이 : 맑은물 함세린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