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세상/가르치며 배우며

[스크랩] 시조(時調) 공부 6 /유념해야 할 사항 / 예촌--서 길 석

사랑빛 2014. 3. 11. 13:07

시조(時調) 공부

 

8. 시조(모든 문학 창작 포함)를 잘 지으려면

 

 

메모하는 습관을 기릅니다

   항상 메모도구를 휴대하고 다니며 어떤 상이 잠깐 스치고 지나갈 때 이를 놓지지 말고 즉시 메

모하는 습관을 기릅니다.

 

느낌을 잘 잡아야 합니다

   느낌(생각이 아닌 순수 느낌)은 바로 영혼의 언어입니다. 즉 절대계(부처의 세계, 신의 시계,

영혼의 세계)에서 보내는 멧시지인 경우가 많습니다. 메모는 집에 가서 하려면 잘 떠오르지도 않

고, 벌써 시차를 둔 사이 방금의 상(想)이 희석되어 영혼의 언어가 아닌 생각의 소산이 되기 쉽습

니다.

 

습작은 내 필력(筆歷)의 자산입니다

   모든 습작은 찢어버리지 말고 반드시 날짜순으로 다 모아둡니다. 훗날 좋은 자산이 되거나 더

 좋은 상으로 바꿀 수도 있고 자기 발전의 척도가 될 수도 있습니다.

퇴고를 반복하고 또 해야 합니다.

   한 작품이 세상에 나오기까지 거의 20번 정도는 고치고 다듬고를 반복합니다. 그러다 보면 처

음 안(案)대로 되돌아오지만 그동안 작품은 세련미라는 옷을 입게 되고 나의 집중력도 향상됩니

다. 그런 과정을 거치지 않은 작품은 세상에 내어 놓아도 어딘가 좀 덜 익은 맛이 단박 느껴집니

다.

아침에 보고, 저녁에 보고, 낮에 보고, 술 마셨을 때 보고, 깨었을 때 보고... 조건과 상황이 바뀌

었을 때 보다보면 또 다른 상도 만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 좋은 작품을 많이 읽어야 합니다.

   좋은 작품을 인터넷이나 노트에 되도록 많이 저장해두고 시간 나는 대로 처음부터 끝까지 주

욱 읽으며 그 이미지를 떠올리려 노력합니다. 그러면 콩나물시루에 물을 주면 물은 다 빠지지만

보이지 않는 사이 콩나물은 크듯 나의 안목과 시에 대한 이해의 폭과 깊이가 넓어지고 깊어집니

.

 

 

 

9. 염두에 두어야 할 점

 - 아래 내용은 시조를 어느 정도 배운 뒤에 정식으로 익혀야 할 문제들이지만 처음부터 어떤 틀

에 묶여버리지 않도록 염두에는 두고 지내시기 바랍니다 -

 

 

 시조란

 

  - 조상들의 멋이자 슬기입니다.

  - 한국의 색깔과 맛, 향기, 귀울음입니다.

  - 우리겨레 고유의 음률이며 박자입니다.

 

 시조는

 

  - 내재율의 심화(深化)가 있어야 합니다.

  - 외형율의 현대화가 요구됩니다.

  - 독창성, 개성적, 작가정신이 있어야 합니다.

  - 광맥을 탐색하듯 투철한 사유(思惟)를 통한 철학적 무게가 있어야 합니다.

  - 독자에게 멧시지(이미지)를 전달해야 합니다.

  - 리듬과 감각이 있어야 합니다.

  - 새옷 입고 나서는 행렬도(行列圖)를 연상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쇠북을 치듯 테마를 두드리는 맛(묵중한 테마)이 있어야 합니다.

  - 긴장미 있는 절제가 먹물 풀리듯 여운(餘韻)으로 감도는 맛이 있어야 합니다.

  - 은유적 소재로 상징적 효과를 극대화하여 一當百으로 여과된 볼륨이 있어야

 합니다.

  - 끊임없는 실험정신이 있어야 합니다.

  - 예술혼이 있어야 합니다.

  - 응집력이 있어야 합니다.

 

 

10. 시조에서 경계해야 할 일

 

  - 음풍농월(吟風弄月), 희노애락을 다루는 데 그치면 안 됩니다.

  - 잣수율 맞추는 데 그치면 안 됩니다.

  - 미사여구로 아름답게 묘사하는데 그치면 안 됩니다. 물론 시는 가급적 아름다

워야 하지만 꾸민 아름다움이 아닌 본연의 진실과 진솔에서 우러나는 아름다움이어야 합니다.

  - 상념을 흥얼거리 듯하는 안일한 자세는 일소해야 합니다.

  - 자기 감정에 빠져 징징 우는 소리로 일관하는 짓은 하지 말아야 합니다.

  - 분개조의 목적문학에 그쳐서는 안 됩니다.

  - 끈끈하기만 한 이야기들의 나열은 곤란합니다.

  - 분칠하듯 아름다운 말의 겉치레는 우리를 요사꾼으로 전락시킵니다.

  - 문학에 대한 얄팍한 향수에서 오는 글은 멀리해야 합니다.

  - 일시적 호기심(일차감정의 화려한 모자이크)에 의한 집적거림의 창작은 지양

해야 합니다.

 

= 詩人은 승인 벋지 않은 세계의 입법자(立法者)다 =- - 셀리 -

 = 끝 =

 

출처 : 시조시인 함세린 시조문학 [청풍명월 연가]
글쓴이 : 맑은물 함세린 원글보기
메모 :